본문 바로가기

★똥이의 주식 및 재테크 공부★

"반도체" 투자자라면 알아야 할 반도체 공정 !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

이번 포스팅은 반도체 공정에 대해 포스팅 해보려구해요 ^__^!

반도체 투자자라면 공정이 무엇인지는 알아야겠죠?


반도체 공정

①웨이퍼제조

②산화

③포토

④식각

⑤증착&이온

⑥금속배선

⑦EDS(Electrical Die Sorting: 전기적테스트공정)

⑧패키징

⑨테스트

 

 

(전공정 1~7 / 후공정 8,9)

 

전공정

웨이퍼 제조

 

-웨이퍼: 반도체의 기본이 되는 판.

모래에서 추출한 실리콘으로 만듦.

가격 싸고 수급용이. 고온&습도에 강함.

-실리콘 덩어리들을 원통에 넣고 고열에 가열

→ 연마&세정 반복하여 원기둥 모양으로 만듦

→ 원기둥(잉곳)을 특수절단기를 이용하여 잘라냄

(원판모양으로 얇고 균일하게) → 웨이퍼제조 완료

※웨이퍼는 부도체(전기가 통하지 않음).

이후 공정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 줌.

※잉곳: 금속 또는 합금을 한 번 녹인 후 주형에 흘려 넣어 굳힌 것

 

산화

 

-만들어진 웨이퍼에 산화액을 도포하여 산화막을 생성시키는 공정.

-오염&불순물 방지 및 누설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함(보호막 역할)

 

포토

 

-웨이퍼에 회로를 그리는 공정(사진인화나 고무판인쇄 같은...)

-포토마스크를 만듦 → 산화공정을 거친 웨이퍼 위에 감광액을 뿌림

→ 웨이퍼 위에 렌즈를 두고 그 위에 포토마스크를 올려놓고 빛을 쏨

→ 포토마스크의 구멍을 통해 들어온 빛이 감광액을 탈락시켜 회로를 완성시킴.

※포토마스크(photomask = Reticle): 판 위에 반도체의 미세회로를 형상화 한 것.

반도체의 미세회로를 빠르고 정확하게 새길 수 있도록 해주는 판.

※감광액(Photo Resist): 빛에 민감한 물질.

※고품질의 미세한 회로패턴을 얻으려면 감광액 막이 얇고 균일하게 도포되어야하며,

빛에 대한 감도가 높아야 함.

 

식각(에칭 :  Etching)

 

-포토공정까지 마친 웨이퍼에서 회로패턴 이외에 불필요한 부분을 벗겨내는 공정.

-포토공정 후 감광액이 제거된 부분의 산화막을 제거 →

(앞의 과정 후) 산화액위에 남아있는 감광액을 제거

-식각 공정 후 웨이퍼와 산화액만 남은 상태로 회로(설계도면) 완성.

※식각과정은 음성, 양성 방법이 있는데

아래에 첨부해 둔 그림은 음성 식각 방법입니다

 

증착 & 이온

 

-부도체인 웨이퍼에 이온 임플란트를 댄 후 이온을 주입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함(이온)

-박막을 위에 덮어줘서 회로 간 누설이 되지 않도록 구분&보호 해 줌(증착)

-박막은 얇고 균일하게 하는 것이 경쟁력이며, 반도체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 기술력

 

금속배선

 

-전기신호를 외부로부터 받을 수 있도록

회로가 만들어진 반도체에 알루미늄선을 연결해 주는 것.

(티타늄이나 텅스텐도 사용되나 알루미늄이 가장 많이 쓰임)

-기본적인 반도체 공정 완료. 반도체 완성

 

EDS(Electrical Die Sorting :  전기적 테스트 공정)

-ET테스트: 각 회로가 전압을 잘 받고 전류가 흐르는지 확인

-WBI: 웨이퍼에 열을 가해 약한 부분을 잡아냄

-H&C(Hot&Cold): 일정 온도에서 전류가 잘 흐르고 안정적으로 전압을 받아내는지 확인

-R&F(Repair&Final): 최종적으로 불량을 개선해주고, 고칠 수 있는지 확인. 양품‧불량품 확인하는 과정

-Inking: 특수 잉크를 사용하여 어떤 부분이 개선되었는지 양품이고 불량품인지를 체크.

후공정의 테스트공정에 들어가기 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최종 테스트.

 

 

후공정

 

패키징

 

-전공정을 통해 완성된 반도체를 레이저로 잘라냄.

-하나씩 잘린 반도체 칩을 Die 또는 Bare chip 이라함.

-Die를 리드프레임 또는 PCB위에 올려 본딩하는 것(패키징)

예전에는 와이어를 많이 사용했으나 지금은 범프위에 올려서 본딩.

※플립칩(Flip Chip): 범프를 이용해 본딩하는 과정을 말함. 비용 적게들고 작고 속도 빠름

 

테스트

 

점사장비에 넣고 돌려 다양한 조건에서 전압이 제대로 흐르는지, 전기신호 제대로 들어오는지,

전기적특성에 대한 기능적 테스트를 하는 마지막 테스트 공정.

 


 

반도체 기업분류 및 관련 용어

 

 

 

종합 반도체기업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반도체의 개발, 설계, 생산 다 할 수 있는 기업

-한 기업에서 반도체를 만들기 위한 전 공정을 할 수 있으며,

자체적인 팹(Fab)을 보유한 기업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마이크론

※Fab(Fabrication facility의 줄임말): 반도체 생산의 핵심인 실리콘웨이퍼를 만드는 공장을 말함

 

팹리스(Fabless)

 

-반도체 개발 및 설계만 하는 기업

-자체적인 브랜드 제품을 파우드리 업체에 외주를 줘서 생산.

-퀄컴, 엔비디아, AMD, 실리콘웍스

 

파운드리(Foundry)

 

-반도체 위탁생산 전문 기업.

-개발 및 설계를 하지 않고 타사에서 개발한 반도체 생산에만 집중하는 기업

-SMC(대만), DB하이텍

 

OSAT(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set)

 

-패키징과 테스트를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

-파운드리에서 웨이퍼를 넘겨받아 테스트 & 패키징 등 마무리 작업을 주로 함.

-엘비쎄미콘, 네패스, 테스나

 

 

 

전공정

후공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