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주와 가치주 구분하는 안목
오늘은 주식 투자시 많은 부분에서 언급이 되는 용어인 가치주, 성장주 이야기다. 개인적으로 가치주와 성장주를 별개의 투자 형태로 정의하는 이분법적 구분에 동의하지 않는다. 가치주든 성장주든 결국 기업 가치에 목표를 두고 향후 주가 상승에 베팅하는 투자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 가치의 중점을 어디에 두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아무튼 투자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니 가치주와 성장주 투자 개념을 정리해 보자.
의외로 가치주가 갖는 메리트
주로 단기 수익 편향의 시장 성격 때문에 성장주 대비 가치주가 조명을 받기는 쉽지 않다. 가치주를 선호하는 투자자는 오히려 덕분에 가치주가 과도하게 저평가되어 좋은 주식을 싸게 살 환경을 마련해 준다고 말한다.
또 장기적 관점에서 가치주 수익률이 성장주의 평균 수익률보다 높다고 주장한다. 가치주는 주로 경기순환주 섹터 주식이 많고 경기회복세 초기 단계에 가치를 실현해 수익률이 높아지는특성이 있다. 반면 불마켓 일 수록 수익률이 저조하다.
성장주를 선호하는 투자자는 시장이 저평가 된 가치를 인정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불필요한 비용으로 보기도 한다. 성장주의 가치는 시장에 선반영돼 수익률이 가시적이고 성장세의 기대감이 지속되는 한 계속 상승한다. 주로 저금리 환경에서 불마켓일 때 정장주 수익률은 시장수익률을 상회하고 경기가 전반적으로 하락세일 때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다.
다음 그래프를 보면 역대 경기침체기에는 가치주 수익률이 성장주 수익률을 압도하지만 그외 경기호황, 상승장에서는 성장주 수익률이 시장을 압도하는 패턴이 어지고 있다.
[미국 10년 장기 금리 추이와 가치-성장지수 수익률 격차 추이]
[주황선 : 미국 10년 장기 금리]
[녹색선 : 가치-성장지수 수익률 격차]
왼쪽의 그래프에서 색으로 표시한 기간은 미국 10년물 장기 금리와 가치/성장 지수의 수익률 차이를 나타내는데 그 기간 동안 가치주의 가파른 수익률 상승세를 볼 수 있다.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고 경기가 호전될수록 성장주의 득세가 시작되는데 예를 들어 2009년부터 줄곧 이어져왔던 미국의 불마켓 동안 성장주의 상대적 수익률이 점점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어차피 둘다 우상향 프레임 놀이
결국 성장주든 가치주든 자신의 투자 성향에 따라 그리고 매크로적 시장상황에 따라 흐름에 맞춰 투자 판단을 내리는 것이 옳다. 가치투자를 하겠다며 포트폴리오를 100% 가치주로 구성하는 것도 눈앞의 수익률을 좇아 무조건 성장주에 올인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은 아니다.
아무도 어느 한쪽을 택하라고 강요한적 없다. 가치주와 성장주 구분은 그저 투자 프레임 워크 중 하나일 뿐이다. 가치주, 성장주 모두 기업 가치에 중점을 두되 시황에 따라 비율을 조정하며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당장 1년 안에 결판을 볼 게 아니라 향후 5년,10년 투자할 계획이라면 말이다. 그래서 주식투자는 어렵다. 개별 주식을 이해는 것 뿐 아니라 시장 흐름과 각종 경제 지표의 움직임을 보는 안목도 필요하니 시장을 큰 그림으로 보는 연습을 하자.
'★똥이의 주식 및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 (mrna 백신관련주) 관련주 주가 전망 (0) | 2021.07.08 |
---|---|
주식 이평선 ,정배열 공부해도 모르겠던데.. (0) | 2021.07.07 |
분할매수 도대체 언제 할건데? (0) | 2021.07.07 |
내 주식 성향을 알아보자 "장기 투자인가 단기 투자인가"? (0) | 2021.07.07 |
"반도체" 대장주 삼성전자 주가 전망 (0) | 2021.07.06 |